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김현철·이하 이식학회)가 다음달 5일 서울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2017년 춘계학술대회(대회장 이종호)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Innovation & Renovation of Implant Dentistry’를 대주제로 현재 임플란트 관련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임상적용은 얼마나 이뤄지고 있는지, 그리고 기존 기술이 어떻게 다시 다듬어지고 있는지 등을 다루게 된다.
이종호 학술대회장은 “오늘날 임플란트는 치의학의 중심화두며 전국민의 가장 큰 관심의 대상으로 치과치료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형상화 되고 있다”며 “이번 학술대회는 임플란트 학문에 폭 넓은 지식과 경험을 가진 여러 연자를 통해 최신 지식을 전달하고 배우는 학술교류 축제의 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학술대회는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세션에서는 노인 임플란트 보험화로 인해 한정된 2개의 보험 임플란트로 보철 수복을 원하는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임상 노하우가 공유된다.
먼저 권긍록 교수(경희치대 치과보철학교실)가 ‘보철물 형태에 따른 적절한 임플란트의 개수는?’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이어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보철물 제작을 위한 치료계획’을 주제로 박동원 원장(파크에비뉴치과)이 연자로 나설 예정이다.
또한 허중보 교수(부산치대 치과보철학교실)가 ‘소수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치료 전략’으로 다양한 옵션을 제시한다.
세션 2에서는 지난 추계학술대회에 이어 ‘Guided-Surgery’가 다뤄질 예정으로, 이번에는 지난 학술대회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시스템이 소개된다. 특히 가상 시뮬레이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김영준 박사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 강연을 준비해 기대를 모은다.
이어 김기성 원장(남상치과)이 ‘오스템 디지털 가이드 수술 시스템: 원가이드 시스템의 활용’을, 서상진 원장(창원예인치과)이 ‘세렉가이드 2 시스템: Made in clinic’을 각각 강연할 예정이다. 특히 세렉가이드를 다룰 서 원장은 체어사이드 CAD/CAM으로 많은 노하우를 쌓은 시로나의 세렉을 이용해 치과 내에서 제작하는 수술 가이드 시스템을 소개할 예정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해외연자 초청강연도 진행, 미국 UCLA의 Dr. Tara Aghaloo의 강연이 준비돼 있다. 그는 ‘UCLA update of GBR’을 통해 발치와 관리 및 임플란트 주위염 관련 최신 지견을 펼칠 예정이다.
이날 마지막 세션은 임플란트 관련 최대 이슈 중 하나인 임플란트 주위염 해결책이 다뤄진다. 양승민 교수(삼성서울병원)가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 계획’을, 신승일 교수가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 처치’를 각각 다룬다.
이번 학술대회를 끝으로 임기를 마치는 김현철 회장은 “사회 전반에서 걸쳐 급변하는 환경은 우리 치과인들에게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며 “하루가 다르게 개발되고 있는 첨단 테크놀로지와 치과진료 환경의 변화는 임플란트 분야에서도 새로운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고,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통한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현재, 이번 학술대회는 매우 시기적절한 주제를 선정, 치과의사들에게 충분한 가이드가 될 것”이라면서 많은 참여를 바랐다.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김현철·이하 이식학회)가 다음달 5일 서울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2017년 춘계학술대회(대회장 이종호)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Innovation & Renovation of Implant Dentistry’를 대주제로 현재 임플란트 관련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임상적용은 얼마나 이뤄지고 있는지, 그리고 기존 기술이 어떻게 다시 다듬어지고 있는지 등을 다루게 된다.
이종호 학술대회장은 “오늘날 임플란트는 치의학의 중심화두며 전국민의 가장 큰 관심의 대상으로 치과치료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형상화 되고 있다”며 “이번 학술대회는 임플란트 학문에 폭 넓은 지식과 경험을 가진 여러 연자를 통해 최신 지식을 전달하고 배우는 학술교류 축제의 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학술대회는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세션에서는 노인 임플란트 보험화로 인해 한정된 2개의 보험 임플란트로 보철 수복을 원하는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임상 노하우가 공유된다.
먼저 권긍록 교수(경희치대 치과보철학교실)가 ‘보철물 형태에 따른 적절한 임플란트의 개수는?’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이어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보철물 제작을 위한 치료계획’을 주제로 박동원 원장(파크에비뉴치과)이 연자로 나설 예정이다.
또한 허중보 교수(부산치대 치과보철학교실)가 ‘소수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치료 전략’으로 다양한 옵션을 제시한다.
세션 2에서는 지난 추계학술대회에 이어 ‘Guided-Surgery’가 다뤄질 예정으로, 이번에는 지난 학술대회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시스템이 소개된다. 특히 가상 시뮬레이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김영준 박사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 강연을 준비해 기대를 모은다.
이어 김기성 원장(남상치과)이 ‘오스템 디지털 가이드 수술 시스템: 원가이드 시스템의 활용’을, 서상진 원장(창원예인치과)이 ‘세렉가이드 2 시스템: Made in clinic’을 각각 강연할 예정이다. 특히 세렉가이드를 다룰 서 원장은 체어사이드 CAD/CAM으로 많은 노하우를 쌓은 시로나의 세렉을 이용해 치과 내에서 제작하는 수술 가이드 시스템을 소개할 예정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해외연자 초청강연도 진행, 미국 UCLA의 Dr. Tara Aghaloo의 강연이 준비돼 있다. 그는 ‘UCLA update of GBR’을 통해 발치와 관리 및 임플란트 주위염 관련 최신 지견을 펼칠 예정이다.
이날 마지막 세션은 임플란트 관련 최대 이슈 중 하나인 임플란트 주위염 해결책이 다뤄진다. 양승민 교수(삼성서울병원)가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 계획’을, 신승일 교수가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 처치’를 각각 다룬다.
이번 학술대회를 끝으로 임기를 마치는 김현철 회장은 “사회 전반에서 걸쳐 급변하는 환경은 우리 치과인들에게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며 “하루가 다르게 개발되고 있는 첨단 테크놀로지와 치과진료 환경의 변화는 임플란트 분야에서도 새로운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고,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통한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현재, 이번 학술대회는 매우 시기적절한 주제를 선정, 치과의사들에게 충분한 가이드가 될 것”이라면서 많은 참여를 바랐다.